전체목록

도서 No.90724
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
다운로드
목차
- 1.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01_표지
- 2.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02_발간사
- 3.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03_일러두기
- 4.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04_목차
- 5.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05_서하집_1
- 6.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06_동국이상국집_17
- 7.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07_매호유고_105
- 8.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08_남양시집_111
- 9.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09_지포집_113
- 10.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10_동안거사집_117
- 11.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11_홍애유고_121
- 12.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12_근재집_123
- 13.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13_익재집_131
- 14.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14_졸고천백_155
- 15.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15_급암시집_161
- 16.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16_가정집_175
- 17.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17_설곡집_189
- 18.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18_제정집_197
- 19.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19_담암일집_203
- 20.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20_둔촌잡영_207
- 21.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21_야은일고_215
- 22.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22_목은고_217
- 23.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23_원재고_363
- 24.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24_유항시집_371
- 25.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25_삼봉집_375
- 26.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26_포은집_383
- 27.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27_척약재학음집_389
- 28.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28_독곡집_395
- 29.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29_운곡행록_403
- 30.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30_석탄집_421
- 31.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31_쌍매당협장집_423
- 32.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32_송당집_435
- 33.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33_호정집_441
- 34.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34_도은집_445
- 35.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35_구정유고_453
- 36.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36_양촌집_455
- 37.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37_야은집_493
- 38.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38_기우집_497
- 39.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39_복재집_501
- 40.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40_인재유고_503
- 41.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41_형재시집_505
- 42.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42_용헌집_511
- 43.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43_분류별 색인_515
- 44. 2005_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_44_주제어별 색인_523
-
제작자
국립무형유산원
-
생산년도
2005
-
공공누리
제 4유형
-
CCL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
키워드
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 문헌, 고려시대, 민속, 국립문화재연구소
관련 콘텐츠 학술조사연구

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
19세기 말 20세기 초 이래 국내외 많은 학자들이 우리나라의 민속과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고 연구를 수행해왔으나 다양한 연구성과의 축적에도 불구하고, 이들 민속관련 기초자료와 연구 성과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소개하는 자료집은 전무한 실정이었다. 이에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민속문헌자료집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학계와 연구자에게 제공하고자 민속문헌자료 기초조사에 착수하였으며, 본 자료가 연구의 성과물로 정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