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반복영역 건너뛰기
본문 바로가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부가기능 및 사이트
검색
상세검색
상세검색
검색어
검색
상세검색
콘텐츠분류
전체
국가무형문화재 기록화
학술조사연구
공연/전시/교육
소장음원자료
다국어영상물
기증기탁식
전체
기록영상/사진/도서
구술채록
16mm 기록영화
한국민속종합조사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조사보고서
연구보고서
학술지
학술발표자료
기증자료
민속문헌자료
기타도서
공연
전시
교육
소장음원자료
다국어영상물
기증기탁식
매체유형
영상
도서
음원
사진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
제4유형
범주분류
전통적 공연예술
전통기술(공예,미술)
전통지식
구전전통 및 표현
생활관습
민간신앙
전통놀이 무예
기타(복합)
초기화
검색
닫기
국가무형문화재
한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
국립무형유산원 홈페이지
상단메뉴
디지털아카이브
무형유산정보를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전체목록
문화재 검색
자료분류별검색
국가무형문화재 기록화
기록영상/도서/사진
구술채록
16mm 기록영화
학술조사연구
공연/전시/교육
공연
전시
교육
소장품
소장품 검색
기증/기탁식
기획콘텐츠
소장음원자료시리즈
스페셜 다큐멘터리
다국어 영상물
테마콘텐츠
국제 무형유산 영상축제
아리랑 아카이브
무형유산 네이버TV뉴스
무형유산 유튜브 채널
무형유산 구글아트&컬쳐
아카이브소개
아카이브 안내
자료이용 안내
오늘 하루 이 창을 열지 않음
닫기
home
자료분류별 검색
국가무형문화재 기록화
구술채록
기록영상/도서/사진
구술채록
16mm 기록영화
전체
45
건
명칭
내용
지역
년도
검색
초기화
45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045) 황해도평산소놀음굿 이선비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가 기·예능을 체득하기까지의 삶과 활동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인간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전승자의 생애와 무형문화재 전승과정을 국민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 발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황해도평산소놀음굿 이선비 보유자는 1934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전라남도 고흥군까지 피난했다가 인천으로 옮겨와 평생을 이곳에서 살았다. 28세에 신내림을 받은 뒤 다양한 경험들을 통해 황해도의 대표적인 굿거리들을 주관하는 무당으로 성장했다. 때로는 무당으로 천시 받는 일도 있었지만 황해도평산소놀음굿을 계승하기 위해 삶의 무게를 이겨내고 제자 양성에 힘써왔으며 2019년 4월 작고하였다.
44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044) 윤도장 김종대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가 기·예능을 체득하기까지의 삶과 활동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인간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전승자의 생애와 무형문화재 전승과정을 국민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 발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윤도장 김종대 보유자는 1933년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산림리에서 태어났다. 군 제대 후 작은아버지로부터 가업을 물려받아 부단한 노력과 훈련 과정을 거치며 윤도 제작에 몰두하였다.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전통을 수많은 노력을 통해 성취하였고, 2021년에는 큰아들이 보유자로 인정되어 전통의 계승이라는 무거운 짐을 내려놓게 되었다.
43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043) 예천통명농요 이상휴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가 기·예능을 체득하기까지의 삶과 활동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인간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전승자의 생애와 무형문화재 전승과정을 국민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 발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예천통명농요 이상휴 보유자는 1933년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서본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노래를 좋아하여 농사일을 할 때나 나무일을 할 때나 늘 노래를 부르며 살았다. 풍물과 노랫소리가 들리는 곳이라면 어디라도 따라가 어른들 어깨너머로 음악을 배우고 그것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데 능했다. 이상휴 보유자와 예천통명농요보존회는 다양한 공연과 초·중등학교 교육을 통해 예천통명농요를 보급하고 있다.
42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042)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영희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가 기·예능을 체득하기까지의 삶과 활동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인간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전승자의 생애와 무형문화재 전승과정을 국민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 발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영희 보유자는 1938년 전라북도 군산시 영동에서 태어났다. 국악예술학교 교사로 재직하면서 당대 최고의 명인·명창들과 함께 교류하며 자신의 음악세계를 넓혔다. 또한 세계 각국의 해외공연을 통해 한국문화를 널리 알리는 문화대사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으며, 10여 년간 한국국악협회 이사장을 역임하며 국악과 전통문화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지금도 제자양성과 국악의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힘을 쏟고 있다.
41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자서전(041) 강강술래 박용순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가 기·예능을 체득하기까지의 삶과 활동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인간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전승자의 생애와 무형문화재 전승과정을 국민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 발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강강술래 박용순 보유자는 1938년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향동에서 태어났다. 결혼 후 6명의 시동생과 8남매의 자녀를 돌보며 살림을 일구면서도 강강술래 가락을 잊지 않고 전승해 왔다. 그리고 70대 만학도가 되어 자신의 배움을 채운 데서 보듯이 성실하고 알차게 인생을 채워왔다. 지금은 강강술래보존회의 원로로서 후배들과 함께 강강술래가 잘 전승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40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040) 선소리산타령 최창남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가 기·예능을 체득하기까지의 삶과 활동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인간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전승자의 생애와 무형문화재 전승과정을 일반인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 발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선소리산타령 최창남 보유자는 1934년 인천시 강화군에서 태어났다. 어업에 종사하는 아버지를 따라 어업과 관련한 민요를 듣고 부르며 예술적인 재능을 키우다가 한국전쟁 이후 이창배의 청구고전학원에서 본격적으로 음악에 입문하였다. 타고난 감각으로 민요를 배우고 가르치며 전국적인 공연활동과 방송 출연, 다양한 공연 연출에서 활약하다 2009년에 국가무형문화재 선소리산타령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39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039) 영산줄다리기 김종곤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가 기·예능을 체득하기까지의 삶과 활동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인간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전승자의 생애와 무형문화재 전승과정을 일반인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 발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영산줄다리기 김종곤 명예보유자는 1938년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공부에 대한 열정으로 전교 1,2등을 놓치지 않았으나 어려운 형편에 학교를 마치지 못하고 기술자로서 살아가게 되었다. 이후 파월 기술자로 베트남 전쟁을 겪고 돌아와 농사에 전념하는 농사꾼이자 영산의 대동놀이인 영산줄다리기를 지키고 전승하는 줄꾼으로 활동하였다. 1995년 국가무형문화재 영산줄다리기 보유자로 인정되었고, 2008년에 명예보유자가 되어 한국과 동아시아의 줄다리기를 꾸준히 기록하고 공부하였다.
38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038) 자수장 최유현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가 기·예능을 체득하기까지의 삶과 활동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인간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전승자의 생애와 무형문화재 전승과정을 일반인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 발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자수장 최유현 보유자는 1936년 전라남도 보성에서 태어났다. 한국전쟁 후 17세에 자수에 대한 일념으로 스승을 따라 부산으로 이주하여 자수 교육과 작품 제작에 몰두하였다. 이후 최유현 수예학원을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한국문화를 담은 자수를 연구, 제작하여 1996년 국가무형문화재 자수장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37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037) 궁시장 유영기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가 기·예능을 체득하기까지의 삶과 활동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인간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전승자의 생애와 무형문화재 전승과정을 일반인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 발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궁시장 유영기 보유자는 1935년 경기도 장단군에서 태어났다. 조부 때부터 화살 만드는 일을 하던 집안에서 나고 자라 자연스레 어릴 때부터 화살을 만들었고, 꾸준히 화살 제작에 몰두하여 1996년 국가무형문화재 궁시장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1988년부터는 전통 화살 복원에 힘을 쏟았으며 2000년에 영집 궁시박물관을 개관하여 전통 화살을 알리는 한편 화살 제작의 전승을 이어가고 있다.
36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036) 전통장 김동학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가 기·예능을 체득하기까지의 삶과 활동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인간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전승자의 생애와 무형문화재 전승과정을 일반인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 발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전통장 김동학 보유자는 1931년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태어났다. 독립운동에 앞장선 선조들로 인해 가난한 시절을 보내며 방황도 했지만 부친의 일을 도와 전통(箭筒)을 본격적으로 제작하게 되었고, 1989년에 국가무형문화재 전통장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1
2
3
4
5
메뉴닫기
자료분류별 검색
국가무형문화재 기록화
기록영상/도서/사진
구술채록
16mm 기록영화
학술조사연구
학술조사연구
공연/전시/교육
공연
전시
교육
범주별 검색
전통적 공연예술
전통기술 (공예,미술)
전통지식 (한의학,농경,어로)
구전전통 및 표현
생활 관습 (의식주)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
놀이‧축제 및 기예 무예
매체별 검색
영상
도서
음원
사진
기획콘텐츠
스페셜 다큐멘터리
기증/기탁 컬렉션
소장음원자료시리즈
다국어 영상물
국제 무형유산 영상축제
아리랑 아카이브
무형유산 네이버TV뉴스
무형유산 유튜브 채널
무형유산 구글아트&컬처
아카이브안내
아카이브 안내
검색안내
자료이용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