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본문 바로가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부가기능 및 사이트
검색
상세검색
상세검색
검색어
검색
상세검색
콘텐츠분류
전체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학술조사연구
공연/전시/교육
소장음원자료
다국어영상물
기증기탁식
전체
기록영상/사진/도서
구술채록
16mm 기록영화
한국민속종합조사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조사보고서
연구보고서
학술지
학술발표자료
기증자료
민속문헌자료
기타도서
공연
전시
교육
소장음원자료
다국어영상물
기증기탁식
매체유형
영상
도서
음원
사진
공공누리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
제4유형
범주분류
전통적 공연예술
전통기술(공예,미술)
전통지식
구전전통 및 표현
생활관습
민간신앙
전통놀이 무예
기타(복합)
초기화
검색
닫기
국가무형유산
한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
국립무형유산원 홈페이지
상단메뉴
디지털아카이브
무형유산정보를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전체목록
국가유산 검색
자료분류별검색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기록영상/도서/사진
구술채록
16mm 기록영화
학술조사연구
공연/전시/교육
공연
전시
교육
소장품
소장품 검색
기증/기탁식
기증자료집
소장품 대여 안내
소장품 열람·복제 안내
기획콘텐츠
소장음원자료시리즈
스페셜 다큐멘터리
다국어 영상물
테마콘텐츠
국제 무형유산 영상축제
아리랑 아카이브
무형유산 네이버TV뉴스
무형유산 유튜브 채널
무형유산 구글아트&컬쳐
아카이브소개
아카이브 안내
자료이용 안내
검색창 열기
사이트맵 열기
사이트맵 닫기
전체목록
국가유산 검색
자료분류별검색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기록영상/도서/사진
구술채록
16mm 기록영화
학술조사연구
공연/전시/교육
공연
전시
교육
소장품
소장품 검색
기증/기탁식
소장품 대여 안내
소장품 열람·복제 안내
기획콘텐츠
소장음원자료시리즈
스페셜 다큐멘터리
다국어 영상물
테마콘텐츠
국제 무형유산 영상축제
아리랑 아카이브
무형유산 네이버TV뉴스
무형유산 유튜브 채널
무형유산 구글아트&컬쳐
아카이브소개
아카이브 안내
자료이용 안내
오늘 하루 이 창을 열지 않음
닫기
home
자료분류별 검색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기록영상/도서/사진
기록영상/도서/사진
구술채록
16mm 기록영화
전체
136
건
명칭
내용
지역
년도
검색
초기화
136
종묘제례악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무형유산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체계적인 기록보존을 위해 1995년부터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록화 사업은 보유자(단체)의 기예능을 영상과 사진으로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도서 발간을 추진한다. 종묘제례악은 역대 제왕과 왕후의 신위(神位)를 모시는 종묘제례에서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 무용 일체를 말한다. 1964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2008년 종묘제례악보존회의 연주 실연 및 인터뷰를 바탕으로 기록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물인 기록영상과 기록도서에는 종묘제례악의 역사와 절차, 음악적 특징, 종묘제례악의 실연과정, 전승현황 등에 대한 내용이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다.
135
양주별산대놀이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무형유산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체계적인 기록보존을 위해 1995년부터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록화 사업은 보유자(단체)의 기예능을 영상과 사진으로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도서 발간을 추진한다. 양주별산대놀이는 경기 양주군 주내면 유양리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산대계통 탈놀이로, 1964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2000년 보유자 노재영, 김상용을 포함한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가 양주별산대놀이를 연행하는 과정을 기록화하였다. 그 결과물인 기록영상과 기록도서에서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유래와 전승 배경, 연희 내용, 전승현황 등이 포함되어 있다.
134
남사당놀이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무형유산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체계적인 기록보존을 위해 1995년부터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록화 사업은 보유자(단체)의 기예능을 영상과 사진으로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도서 발간을 추진한다. 남사당놀이는 풍물, 버나(대접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탈놀이), 덜미(꼭두가시놀음) 등 남사당패에서 행해진 종합적인 연희를 말한다. 1964년 꼭두각시놀음이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1988년 남사당놀이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0년 박계순 보유자와 남기환 보유자를 중심의 남사당놀이보존회 실연을 바탕으로 기록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물인 기록영상과 기록도서에는 남사당의 역사적 유래 및 구성, 6개 세부 종목에 대한 내용, 전승현황 등이 담겨 있다.
133
갓일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무형유산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체계적인 기록보존을 위해 1995년부터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록화 사업은 보유자(단체)의 기예능을 영상과 사진으로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도서 발간을 추진한다. 갓일은 갓을 만드는 공정을 통칭하며, 각 공정의 장인을 일괄한다. 1964년에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하였으며, 2001년에 갓 제작 실연 및 인터뷰를 바탕으로 갓일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였다. 강순자 보유자(총모자), 장순자 보유자(양태), 정춘모 박창영 보유자(입자)의 갓일 전체 공정을 담아냈으며, 그 결과물로 기록영상과 기록도서에 갓일의 역사, 재료, 제작공정, 전승현황 등이 정리되어 있다.
132
판소리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무형유산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체계적인 기록보존을 위해 1995년부터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록화 사업은 보유자(단체)의 기예능을 영상과 사진으로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도서 발간을 추진한다. 판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창(소리), 말(아니리), 몸짓(너름새)을 섞어가며 긴 이야기를 엮어가는 것으로, 1964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2011년 정철호(고법), 박송희, 성창순, 성우향, 송순섭 보유자, 2021년 신영희, 김청만(고법) 보유자의 실연과 인터뷰를 바탕으로 기록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물인 기록영상과 기록도서에는 판소리의 역사와 형성과정, 창과 아니리 발림 등 판소리의 구성과 각 유파별 특징, 전승현황 등을 담고 있다.
131
통영오광대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무형유산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체계적인 기록보존을 위해 1995년부터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록화 사업은 보유자(단체)의 기예능을 영상과 사진으로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도서 발간을 추진한다. 통영오광대는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전승되는 가면극으로서 1964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2001년 이기숙, 강영구, 강연호, 구영옥, 김옥연 보유자를 비롯한 통영오광대보존회가 통영오광대를 연행하는 모습을 기록화하였다. 그 결과물인 기록영상과 기록도서에는 통영오광대의 형성 배경, 전승과정, 다섯마당의 내용 등을 담고 있다.
130
고성오광대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무형유산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체계적인 기록보존을 위해 1995년부터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록화 사업은 보유자(단체)의 기예능을 영상과 사진으로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도서 발간을 추진한다. 고성오광대는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에서 전승되고 있는 탈놀이로 1964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2000년 이윤순 보유자 외 고성오광대보존회가 고성오광대를 연행하는 과정을 기록화하였다. 그 결과물인 기록영상과 기록도서에서는 고성오광대의 형성 과정 및 구성, 변천 과정, 양식 등을 담고 있다.
129
강강술래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무형유산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체계적인 기록보존을 위해 1995년부터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록화 사업은 보유자(단체)의 기예능을 영상과 사진으로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도서 발간을 추진한다. 강강술래는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가무(歌舞)하는 기본형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놀이가 결합된 놀이로 1966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하였다. 2004년 박용순, 박종숙 등 강강술래보존회의 실연 및 인터뷰를 바탕으로 기록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물인 기록영상과 기록도서에는 강강술래의 의미와 역사적 유래, 강강술래 연행의 전 과정에 대하여 상세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128
은산별신제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무형유산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체계적인 기록보존을 위해 1995년부터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록화 사업은 보유자(단체)의 기예능을 영상과 사진으로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도서 발간을 추진한다. 은산별신제는 충남 부여군 은산 지역의 역사적·사회경제적 기반을 배경으로 전해오는 제의이다. 1966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2002년 차진용, 황남희, 박창규 보유자를 포함한 은산별신제보존회가 은산별신제를 진행하는 과정 및 전승 현황을 남기는 기록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물인 기록영상과 기록도서에는 역사적 배경, 형성과 전개, 은산별신제의 절차, 구조와 성격 등이 담겨 있다.
127
나전장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무형유산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체계적인 기록보존을 위해 1995년부터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록화 사업은 보유자(단체)의 기예능을 영상과 사진으로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도서 발간을 추진한다. 나전장은 나전(자개)을 여러 무늬로 오리거나 끊어 붙이는 장인이다. 1966년에 '나전칠기장'으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1995년에 끊음질 종목과 통합하면서 '나전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5년에 송방웅 보유자(끊음질)와 이형만 보유자(줄음질)의 나전칠기함 제작 실연과 인터뷰를 바탕으로 기록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사업을 통해 제작된 기록영상과 기록도서에는 나전칠기의 역사와 장식기법, 재료, 제작공정, 전승현황 등이 담겨 있다.
1
2
3
4
5
6
7
8
9
10
메뉴닫기
자료분류별 검색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기록영상/도서/사진
구술채록
16mm 기록영화
학술조사연구
학술조사연구
공연/전시/교육
공연
전시
교육
범주별 검색
전통적 공연예술
전통기술 (공예,미술)
전통지식 (한의학,농경,어로)
구전전통 및 표현
생활 관습 (의식주)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
놀이‧축제 및 기예 무예
매체별 검색
영상
도서
음원
사진
기획콘텐츠
스페셜 다큐멘터리
기증/기탁 컬렉션
소장음원자료시리즈
다국어 영상물
국제 무형유산 영상축제
아리랑 아카이브
무형유산 네이버TV뉴스
무형유산 유튜브 채널
무형유산 구글아트&컬처
아카이브안내
아카이브 안내
검색안내
자료이용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