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주별 검색 - 놀이‧축제 및 기예 무예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19

더보기

  • 19
    남사당놀이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무형유산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체계적인 기록보존을 위해 1995년부터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록화 사업은 보유자(단체)의 기예능을 영상과 사진으로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도서 발간을 추진한다. 남사당놀이는 풍물, 버나(대접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탈놀이), 덜미(꼭두가시놀음) 등 남사당패에서 행해진 종합적인 연희를 말한다. 1964년 꼭두각시놀음이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1988년 남사당놀이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0년 박계순 보유자와 남기환 보유자를 중심의 남사당놀이보존회 실연을 바탕으로 기록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물인 기록영상과 기록도서에는 남사당의 역사적 유래 및 구성, 6개 세부 종목에 대한 내용, 전승현황 등이 담겨 있다.
  • 18
    강릉단오제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무형유산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체계적인 기록보존을 위해 1995년부터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록화 사업은 보유자(단체)의 기예능을 영상과 사진으로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도서 발간을 추진한다. 강릉단오제는 제관에 의해 이루어지는 유교식 의례와 무당들의 굿이 함께 거행되는 동해안에서 가장 규모가 큰 마을축제로, 많은 군중이 모여들고 난장이 크게 벌어진다. 강릉단오제는 1986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999년 김종군, 조규돈, 빈순애 보유자 등 강릉단오제보존회의 실연 과정을 담은 기록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물인 기록영상과 기록도서에는 강릉단오제의 역사와 특징, 강릉단오제의 전 과정이 상세히 담겨 있다.
  • 17
    광주칠석고싸움놀이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무형유산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체계적인 기록보존을 위해 1995년부터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록화 사업은 보유자(단체)의 기예능을 영상과 사진으로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도서 발간을 추진한다. 광주칠석고싸움놀이는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편을 나누어 ‘고’를 가지고 경쟁적으로 싸우는 놀이이다. 1970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 강판백 보유자를 중심으로 한 보존회의 실연을 바탕으로 기록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물인 기록영상과 기록도서에는 고의 제작과정, 놀이방법, 변이양상, 전승현황 등이 담겨 있다.
기증/기탁 컬렉션 4

더보기

  • 4
    밀양백중놀이
    밀양백중놀이는 1980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후 1986년 보유단체로 인정되었다.
  • 3
    故 이우영 보유자
    이우영(1928~2000, 기지시줄다리기 보유자)은 기지시리에 인접한 당진읍 시곡리에서 태어났으며, 어렸을 때 연희되어 온 고향의 줄다리기를 되살려 지역놀이에서 국가무형문화재로 키워온 이 줄다리기의 산 증인이다. 또한 한양약종상(韓洋藥種商)을 경영하면서 충남지역 민속 사료 수집 등 지역 전통문화 전승에 크게 기여한 향토학자였다. 이밖에 1970년대에는 통일주체국민회의 송악면 대의원에 당선되어 활발한 사회활동을 펼치는가 하면 1973년 기지시줄다리기가 지방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될 수 있도록, 자료수집과 심의를 요청하는 등 지역사회 민속놀이의 복원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1982년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 2
    안동차전놀이
    안동차전놀이는 1969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후 1986년 보유단체로 인정되었다.
공연/전시/교육 2

더보기

  • 2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기념 특별전,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다리와 허리에 맨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사용해 상대를 쓰러뜨리는 전통 민속경기이다. 씨름이 언제부터 행해졌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고분벽화와 문헌 기록들을 통해 늦어도 삼국시대부터 성행했음을 알 수 있다. 씨름은 2006년 '100대 민족문화상징'에 선정되었으며, 2017년에 국가무형유산 제131호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2018년 11월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북한과 함께 등재되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과거 우리 씨름이 행해진 모습과, 그것이 오늘날 각각 놀이와 전문 스포츠로 전해지는 양상을 살펴본 뒤 국가무형유산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미래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과거부터 현재를 거쳐 미래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과 함께하는 씨름에 대해 새롭게 되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 1
    2014 무형유산 기증자료 특별전
    평생을 바쳐 우리 무형유산을 지키고 이어온 명인들의 삶이 고스란히 담긴 자료를 한자리에 보았습니다. 우리의 전통을 이어온 땀과 인내, 열정이 담긴 이 자료는 무형유산의 역사와 가치를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직접 만들어서 사용한 손때 묻은 도구와 무대 의상, 제자의 수업자료를 위해 직접 녹음한 카세트 테이프, 생전에 즐겨 사용하던 유품, 전성기 시절의 모습을 담은 사진자료와 스크랩된 낡은 신문기사 너머로 그 분들의 삶의 흔적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번 특별전은 국가무형유산 작고 보유자 및 명예보유자 여덟 분의 가족과 제자들, 그리고 보유자 두 분과 보존회 세 곳에서 기증해주신 소중한 자료로 꾸몄습니다. 평생 외길을 걸어온 명인들의 삶이 담긴 자료를 통해 우리는 어떤 길을 가야하는지 되물어 봅니다.